맨위로가기

함경북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경북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함경북도 지역의 인구, 행정 구역, 사법, 경찰, 세무, 군사, 교통, 광업, 기업, 미디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인구가 증가했으며, 1945년에는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등 3개의 부와 여러 군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림수산업, 광업, 제조업 등이 있었으며, 청진, 웅기 등에 기상 관측소가, 라진에 나진 요새 사령부가 있었다. 또한, 함경선, 혜산선 등 철도와 여러 도로가 존재했으며, 라디오 방송국과 신문이 운영되었다.

2. 인구

조선인: 762,071명
기타: 6,389명1940년1,102,272명1944년1,124,421명일본인: 74,190명
조선인: 1,039,200명
그 외의 민족: 11,031명


2. 1. 인구 변화 추이

조선인: 762,071명
기타: 6,389명1940년1,102,272명1944년1,124,421명일본인: 74,190명
조선인: 1,039,200명
그 외의 민족: 11,031명


3. 행정 구역

1945년 당시 함경북도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1914년 4월 1일 함경북도부군면 폐합에 따라 종래의 청진군에 경성군의 일부를 편입하여 청진부로 승격하였다. 같은 날, 나진이 부령군에서 분리되어 나진부가 설치되었다. 1940년에는 성진군이 성진부로 승격하였다. 1943년 10월 1일에는 청진부에 부령군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함경북도에는 3개의 부(府)가 설치되어 있었다.



경성군은 주을읍, 어대진읍, 경성면, 주북면, 주남면, 어랑면으로 구성되었다. 명천군은 하우면, 동면, 서면, 상우북면, 상우남면, 아간면, 상가면, 하가면, 하고면, 상고면으로 구성되었다. 길주군은 길주읍, 웅평면, 동해면, 덕산면, 장백면, 영북면, 양사면으로 구성되었다. 학성군은 학중면, 학서면, 학남면, 학상면, 학동면으로 구성되었다. 부령군은 부령면, 서상면, 석막면, 청암면, 연천면, 부거면, 삼해면, 관해면으로 구성되었다. 무산군은 무산읍, 동면, 어하면, 연상면, 연사면, 삼사면, 삼장면, 서하면, 영북면, 풍계면으로 구성되었다. 회령군은 회령읍, 벽성면, 운두면, 봉의면, 창두면, 용흥면, 팔을면, 화풍면으로 구성되었다. 종성군은 종성면, 남산면, 행영면, 용계면, 화방면, 풍곡면으로 구성되었다. 온성군은 온성면, 유포면, 영와면, 영충면, 미포면, 훈융면으로 구성되었다. 경원군은 경원면, 안농면, 동원면, 용덕면, 유덕면, 아산면으로 구성되었다. 경흥군은 웅기읍, 아오지읍, 풍해면, 경흥면, 노서면으로 구성되었다.

3. 1. 부 (府)

1914년 4월 1일 함경북도부군면 폐합에 따라 종래의 청진군에 경성군의 일부를 편입하여 청진부로 승격하였다. 같은 날, 나진이 부령군에서 분리되어 나진부가 설치되었다. 1940년에는 성진군이 성진부로 승격하였다. 1943년 10월 1일에는 청진부에 부령군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함경북도에는 3개의 부(府)가 설치되어 있었다.

3. 2. 군 (郡)

경성군은 주을읍, 어대진읍, 경성면, 주북면, 주남면, 어랑면으로 구성되었다. 명천군은 하우면, 동면, 서면, 상우북면, 상우남면, 아간면, 상가면, 하가면, 하고면, 상고면으로 구성되었다. 길주군은 길주읍, 웅평면, 동해면, 덕산면, 장백면, 영북면, 양사면으로 구성되었다. 학성군은 학중면, 학서면, 학남면, 학상면, 학동면으로 구성되었다. 부령군은 부령면, 서상면, 석막면, 청암면, 연천면, 부거면, 삼해면, 관해면으로 구성되었다. 무산군은 무산읍, 동면, 어하면, 연상면, 연사면, 삼사면, 삼장면, 서하면, 영북면, 풍계면으로 구성되었다. 회령군은 회령읍, 벽성면, 운두면, 봉의면, 창두면, 용흥면, 팔을면, 화풍면으로 구성되었다. 종성군은 종성면, 남산면, 행영면, 용계면, 화방면, 풍곡면으로 구성되었다. 온성군은 온성면, 유포면, 영와면, 영충면, 미포면, 훈융면으로 구성되었다. 경원군은 경원면, 안농면, 동원면, 용덕면, 유덕면, 아산면으로 구성되었다. 경흥군은 웅기읍, 아오지읍, 풍해면, 경흥면, 노서면으로 구성되었다.

4. 역대 도지사

호적이름한자 표기취임퇴임비고
내지인다케이 도모사다다케이 도모사다/武井 友貞일본어1910년 10월 1일1913년 2월 14일함경북도 장관
내지인호아시 준조호아시 준조/帆足 準三일본어1913년 2월 14일[2]1913년 10월 3일[1]함경북도 장관, 사망[3]
내지인구와하라 야쓰시구와하라 야쓰시/桑原 八司일본어1913년 11월 4일1918년 9월 23일함경북도 장관
내지인간바야시 게이지로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 敬次郎일본어1918년 9월 23일1921년 8월 5일장관, 1919년 8월부터 함경북도지사
내지인사이토 레이조사이토 레이조/斉藤 礼三일본어1921년 8월 5일1923년 2월 24일
내지인나카노 다사부로나카노 다사부로/中野 太三郎일본어1923년 2월 24일1926년 8월 14일
조선인박영철朴榮喆1926년 8월 14일1927년 5월 18일
조선인박상준朴相駿1927년 5월 18일1928년 3월 29일
내지인아다치 후사지로아다치 후사지로/安達 房治郎일본어1928년 3월 30일1929년 11월 28일
내지인후루와시 다쿠시로후루와시 다쿠시로/古橋 卓四郎일본어1929년 11월 28일1931년 9월 23일
내지인안도 게사이치안도 게사이치/安藤 袈裟一일본어1931년 9월 23일1931년 9월 29일
내지인도미나가 후미카즈도미나가 후미카즈/富永 文一일본어1931년 10월 7일1934년 11월 5일
내지인다케우치 다케로다케우치 다케로/竹内 健郎일본어1934년 11월 5일1936년 7월 30일
내지인고지마 다카노부고지마 다카노부/児島 高信일본어1936년 7월 30일1940년 3월 9일
내지인오노 겐이치오노 겐이치/大野 謙一일본어1940년 3월 9일1942년 10월 23일
내지인후루카와 가네히데후루카와 가네히데/古川 兼秀일본어1942년 10월 23일1945년 6월 26일
내지인와타나베 리쓰로와타나베 리쓰로/渡部 肆郎일본어1945년 6월 26일1945년 8월 15일광복



1919년 8월 이전에는 "함경북도 장관"이었다.

5. 사법

청진지방법원은 1941년 당시 성진지청, 회령지청, 웅기지청을 관할하였다.

6. 형무소

청진형무소가 있었다.

7. 경찰

1910년 조선총독부 설치와 동시에 헌병경찰제가 실시되었다. 1915년 당시 함경북도 지역에는 경성 헌병대 예하에 나남, 부령, 무산, 길주, 경원, 회령, 경흥 헌병 분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1927년 당시

7. 1. 헌병 경찰 제도

1910년 조선총독부 설치와 동시에 헌병경찰제가 실시되었다. 1915년 당시 함경북도 지역에는 경성 헌병대 예하에 나남, 부령, 무산, 길주, 경원, 회령, 경흥 헌병 분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8. 세무

1941년(쇼와 16년) 당시 함경북도에는 청진세무서와 웅기세무서가 있었다. 함경북도에는 또한 나진세관과 나진세관 청진세관지서가 있었다.

8. 1. 세무서

함경북도에는 청진세무서와 웅기세무서가 있었다.

8. 2. 세관

함경북도에는 나진세관과 나진세관 청진세관지서가 있었다.

9. 임정

1941년(쇼와 16년) 당시 성진영림서가 있었다.

10. 기상

1942년 당시 함경북도에는 성진 기상 관측소, 청진 기상 관측소, 웅기 기상 관측소가 있었다.

11. 군사

나진 요새 사령부와 고사포 제5연대가 나진부에 주둔하였다. 제19사단 예하 보병 제73연대, 보병 제38여단, 보병 제76연대, 기병 제27연대, 산포병 제25연대가 라남읍에, 보병 제75연대와 공병 제19연대가 회령군에 주둔하였다.

12. 교통

1945년(쇼와 20년) 당시 함경북도 지역에는 함경선, 혜산선, 백무선, 무산선, 회령탄광선, 강덕선 등 여러 철도 노선이 있었다. 이 외에도 남만주철도의 북선 서부선과 북선 동부선, 웅라선, 남라진선, 그리고 동만주철도, 조선인조석유주식회사선 등이 있었다.

=== 도로 ===

1927년(쇼와 2년) 당시 함경북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가 있었다.



=== 항만 ===

함경북도에는 1931년 당시 웅기항, 청진항, 성진항, 서수라항, 나진항, 어대진항, 대진항, 이진항, 대량화항, 서포항이 있었다.

12. 1. 철도

1945년(쇼와 20년) 당시 함경북도 지역에는 함경선, 혜산선, 백무선, 무산선, 회령탄광선, 강덕선 등 여러 철도 노선이 있었다. 이 외에도 남만주철도의 북선 서부선과 북선 동부선, 웅라선, 남라진선, 그리고 동만주철도, 조선인조석유주식회사선 등이 있었다.

12. 2. 도로

1927년(쇼와 2년) 당시 함경북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가 있었다.

12. 3. 항만

함경북도에는 1931년 당시 웅기항, 청진항, 성진항, 서수라항, 나진항, 어대진항, 대진항, 이진항, 대량화항, 서포항이 있었다.

13. 광업

함경북도에서는 여러 광물이 생산되었다. 회령탄광, 계림탄광, 생기령탄광 등에서 석탄이 생산되었다. 성진에서는 흑연 광산이 있었다. 무산에는 무산 광산이 있었다.

14. 신사

함경북도에는 라남 신사, 청진 신사, 성진 신사, 회령 신사, 웅기 신사, 길주 신사, 라남 호국 신사가 있었다.

15. 기업

1940년 당시 함경북도 내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엔 이상의 기업은 다음과 같다.

15. 1. 농림수산업

함경북도는 밭농사를 주로 하는 지역으로, 조, 콩, 옥수수, 밀, 보리 등을 재배한다. 밭 면적은 함경남도보다 넓다. 주요 임산물 생산지로는 두만강 유역과 그 지류 유역이 있다. 어업동해에 면한 긴 해안선을 따라 이루어지며, 명태, 대구, 정어리, 고등어, 상어 등이 많이 잡힌다. 수산 제조물로는 소금, 건어, 염장어, 어유, 어분 등이 있다.

15. 2. 광업

함경북도에서는 여러 광산이 개발되었다. 회령탄광, 계림탄광, 생기령탄광 등의 탄광과 성진 흑연 광산, 무산 광산 등이 있었다. 그 외에도 일선광업, 영식광업, 사슴봉광산, 노자키광업 등에서 광물을 채굴하였다.

15. 3. 제조업

함경북도에는 여러 제조업 회사들이 있었다. 청진어량공업, 조선석탄공업, 북선제지화학공업, 청진조선철공소, 조선합동목재, 조선전기야금 등이 있었다.

15. 4. 전기업

부령에는 수력 발전소가 있었다.

15. 5. 운수업

함경북도에서는 성진 자동차, 함북 자동차등의 운송회사들이 있었다. 청진에서는 해운 작업이 이루어졌다.

15. 6. 도소매업

함경북도는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는데, 특히 도소매업이 활발했다. 북조선 산업, 동부상회, 친화무역 등이 대표적인 도소매업체였다. 또한, 오사카호, 나진동흥호, 사이토 석유 등도 활발한 도소매업 활동을 펼쳤다.

15. 7. 금융업

함북무진(咸北無尽)은 함경북도의 금융업과 관련된 회사였다.

15. 8. 부동산업

함경북도에는 선만토지와 천덕흥업등의 회사가 있었다.

16. 미디어

16. 1. 라디오 방송

조선방송협회 청진방송국 (호출부호: JBCK)과 조선방송협회 성진방송국 (호출부호:JBPK)이 1945년 8월 당시 존재하였다.

16. 2. 신문

1941년(쇼와 16년) 당시 함경북도 지역에서 발행되던 신문은 다음과 같다.

17. 출신 유명인

이 시대에 태어나거나 활약한 인물로는 김책(조선인민군 사령관), 연형묵(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咸北要覧:附間島琿春 https://dl.ndl.go.jp[...] 会寧印刷所 1926-06-00
[2] 간행물 『官報』第162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3-02-15
[3] 간행물 『官報』第361号「彙報」 https://dl.ndl.go.jp[...] 1913-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