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함경북도 지역의 인구, 행정 구역, 사법, 경찰, 세무, 군사, 교통, 광업, 기업, 미디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인구가 증가했으며, 1945년에는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등 3개의 부와 여러 군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림수산업, 광업, 제조업 등이 있었으며, 청진, 웅기 등에 기상 관측소가, 라진에 나진 요새 사령부가 있었다. 또한, 함경선, 혜산선 등 철도와 여러 도로가 존재했으며, 라디오 방송국과 신문이 운영되었다.
함경북도는 밭농사를 주로 하는 지역으로, 조, 콩, 옥수수, 밀, 보리 등을 재배한다. 밭 면적은 함경남도보다 넓다. 주요 임산물 생산지로는 두만강 유역과 그 지류 유역이 있다. 어업은 동해에 면한 긴 해안선을 따라 이루어지며, 명태, 대구, 정어리, 고등어, 상어 등이 많이 잡힌다. 수산 제조물로는 소금, 건어, 염장어, 어유, 어분 등이 있다.
'''광업'''
함경북도에서는 여러 광산이 개발되었다. 회령탄광, 계림탄광, 생기령탄광 등의 탄광과 성진 흑연 광산, 무산 광산 등이 있었다. 그 외에도 일선광업, 영식광업, 사슴봉광산, 노자키광업 등에서 광물을 채굴하였다.
'''제조업'''
함경북도에는 여러 제조업 회사들이 있었다. 청진어량공업, 조선석탄공업, 북선제지화학공업, 청진조선철공소, 조선합동목재, 조선전기야금 등이 있었다.
함경북도에서는 성진 자동차, 함북 자동차등의 운송회사들이 있었다. 청진에서는 해운 작업이 이루어졌다.
'''도소매업'''
함경북도는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는데, 특히 도소매업이 활발했다. 북조선 산업, 동부상회, 친화무역 등이 대표적인 도소매업체였다. 또한, 오사카호, 나진동흥호, 사이토 석유 등도 활발한 도소매업 활동을 펼쳤다.
'''금융업'''
함북무진(咸北無尽)은 함경북도의 금융업과 관련된 회사였다.
'''부동산업'''
함경북도에는 선만토지와 천덕흥업등의 회사가 있었다.
15. 1. 농림수산업
함경북도는 밭농사를 주로 하는 지역으로, 조, 콩, 옥수수, 밀, 보리 등을 재배한다. 밭 면적은 함경남도보다 넓다. 주요 임산물 생산지로는 두만강 유역과 그 지류 유역이 있다. 어업은 동해에 면한 긴 해안선을 따라 이루어지며, 명태, 대구, 정어리, 고등어, 상어 등이 많이 잡힌다. 수산 제조물로는 소금, 건어, 염장어, 어유, 어분 등이 있다.
15. 2. 광업
함경북도에서는 여러 광산이 개발되었다. 회령탄광, 계림탄광, 생기령탄광 등의 탄광과 성진 흑연 광산, 무산 광산 등이 있었다. 그 외에도 일선광업, 영식광업, 사슴봉광산, 노자키광업 등에서 광물을 채굴하였다.
15. 3. 제조업
함경북도에는 여러 제조업 회사들이 있었다. 청진어량공업, 조선석탄공업, 북선제지화학공업, 청진조선철공소, 조선합동목재, 조선전기야금 등이 있었다.
15. 4. 전기업
부령에는 수력 발전소가 있었다.
15. 5. 운수업
함경북도에서는 성진 자동차, 함북 자동차등의 운송회사들이 있었다. 청진에서는 해운 작업이 이루어졌다.
15. 6. 도소매업
함경북도는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는데, 특히 도소매업이 활발했다. 북조선 산업, 동부상회, 친화무역 등이 대표적인 도소매업체였다. 또한, 오사카호, 나진동흥호, 사이토 석유 등도 활발한 도소매업 활동을 펼쳤다.
15. 7. 금융업
함북무진(咸北無尽)은 함경북도의 금융업과 관련된 회사였다.
15. 8. 부동산업
함경북도에는 선만토지와 천덕흥업등의 회사가 있었다.
16. 미디어
16. 1. 라디오 방송
조선방송협회 청진방송국 (호출부호: JBCK)과 조선방송협회 성진방송국 (호출부호:JBPK)이 1945년 8월 당시 존재하였다.
16. 2. 신문
1941년(쇼와 16년) 당시 함경북도 지역에서 발행되던 신문은 다음과 같다.
북선일보
북선일일신문
17. 출신 유명인
이 시대에 태어나거나 활약한 인물로는 김책(조선인민군 사령관), 연형묵(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